업체소식 삼성重, 드릴십, 해상유전 개발에 투입된다드릴십, 투입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절단과판금 댓글 0건 조회 469회 작성일 21년 07월본문
삼성重, 드릴십, 해상유전 개발에 투입된다드릴십, 투입된다
伊 Saipem社에 2年 용선…매입 옵션 포함돼 매각도 가능
油價 안정되며 시추 수요 회복 조짐…추가 매각 기대감 고조
삼성중공업이 未인도 드릴십 1척의 용선계약으로 안정적 수익 확보에 성공하며 경영 정상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이탈리아 전문 시추 선사인 Saipem(사이펨)과 드릴십 1척에 대한 용선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용선 기간은 2021년 11월부터 2023년 8월까지입니다. 이번 계약에는 Saipem이 2022년까지 드릴십을 매입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어 매각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해당 드릴십은 삼성중공업이 2013년 8월 그리스 선사인 오션리그(OceanRig)로부터 수주했으나 2019년 10월 계약이 해지된 바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과 유가상승으로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의 해양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드릴십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며 “나머지 드릴십에 대한 매각도 조속히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삼성중공업은 현재 진행중인 재무구조 개선 노력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드릴십 매각 등 현안이 해소되면 경영 정상화에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지난해 배럴당 20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던 국제유가가 OPEC+의 감산 계획 유지 결정, 글로벌 원유 수요증가 등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에는 80달러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돼 해양플랜트 개발 환경이 호전되고 있습니다.
해양 용융염원자로 기술 개발 나선다.
삼성중공업이 ‘탄소 제로 에너지源’으로 부상하고 있는 해양 원전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국내 유일의 원자력 종합연구개발 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과 ‘해양 용융염원자로(MSR·MoltenSalt Reactor) 개발 및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협약식에는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과 박원석 한국원자력 연구원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상호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중공업은 미래 신사업 확장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MSR 기반 부유식 원자력발전 플랜트 및 원자력추진선박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입니다.
협약에는 △MSR 요소 기술 및 열교환기 등 관련 기자재 개발 △해양 원자력 제품 설계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성능 검증, 경제성 평가 등을 위한 공동 연구 방안이 담겼습니다.
MSR은 최근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제로 에너지원으로 관심이 높은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e Reactor)의 일종으로, △핵연료의 사용 주기가 20년 이상으로 선박 수명 주기와 같아 한 번 탑재 후 교체가 필요 없으며 △원자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선박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원자로 내부에 이상 신호가 생기면 액체핵연료인 용융염이 굳도록 설계되어 중대 사고를 원천 차단해 안전성이 높고 △고효율 전력과 수소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어 차세대 그린 수소 생산 기지 등 활용 분야도 다양할것으로 기대됩니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은 “MSR은 기후 변화 이슈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 삼성중공업의 비젼과 부합하는 차세대 기술”이라며, “MSR이 현재 연구개발중인 암모니아, 수소 기술과 함께 삼성중공업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연료전지로 가는 LNG 운반선 만든다
삼성중공업이 연료전지로 운항하는 LNG 운반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美 블룸에너지社와 공동으로 선박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로 추진하는 LNG 운반선 개발에 성공하고 노르웨이-독일 선급인 DNV로부터 기본 설계 승인(AIP)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연료전지 추진 LNG 운반선은 자연 기화되는 LNG를 활용한 SOFC로 선박 추진 엔진을 대체함으로써 내연기관은 물론 오일을 이용하는 각종 장치가 필요 없는혁신적 방식입니다.
따라서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온실가스(CO2)도 크게 감축시킬 수 있어 강화 되고 있는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선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앞서 2019년 9월, DNV로부터 연료전지 적용 원유운반선 기본 설계 승인을 받은 데 이어 2020년 7월에는 블룸에너지社와 공동개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조선소에 구축한 LNG 실증 설비에서 실증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글로벌 선주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마케팅에 나설 계획입니다.
정호현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은 “연료전지 추진 선박은 내연기관을 연료전지로 대체하여 대기오염 물질 배출은 물론 소음·진동과 유지·보수 비용까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신개념 선박”이라며, “삼성중공업이 선박용 연료전지 추진시스템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가 2023년 부터 현존선에너지효율지수(EEXI)와 탄소집약도지표(CII)를선박에 도입해 단계적으로 탄소배출을 줄여나가기로 결정함에 따라 친환경 선박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Copyright ⓒ 월간 [절단과 판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